본문 바로가기
소식

일본 니가타 역사서 "사도광산에 조선인 1천200명 연행, 갱내 노동"

by niceharu 2024. 7. 6.

니가타현에 위치한 사도 광산은 최근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데, 이 과정에서 조선인들이 열악한 환경에서 강제로 일했던 기록이 남아 있어 논란이 되고 있어요. 교도통신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사도 광산에서 많은 조선인들이 일제 강점기 동안 강제 노동에 동원되었고, 이 사실은 니가타현 지역 역사서와 시민단체 조사 결과 등에 잘 드러나 있어요.

 

 

특히 니가타현 당국이 1988년에 발행한 '니가타현사 통사편8 근대3'이라는 책에서는 1939년에 시작된 노무동원 계획이 '모집', '관 알선', '징용'이라는 명칭으로 변화했지만, 조선인들을 강제로 연행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았다고 기술하고 있어요. 1942년 기준으로 니가타현 내 조선인 노동자는 미쓰비시광업 사도 광산에서 가장 많은 802명이었어요.

 

사도 광산에 동원된 조선인들은 집세를 면제받고 일본어 교육을 받는 등의 배려가 있었다고는 하지만, 민족 차별적인 임금과 열악한 근로 환경으로 인해 불만을 느끼고 도망치거나 파업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해요. 니가타현사는 미쓰비시 측이 조선인들을 열등한 민족으로 대하는 태도를 숨기지 않았다고 비판하고 있어요.

 

또한, 1995년에 발행된 '사도 아이카와의 역사 통사편 근현대'라는 책에서는 1945년 3월이 조선인 모집의 마지막이었고, 총 1,200명이 사도 광산에 동원되었다고 적고 있어요. 조선인들은 일본인보다 더 많은 갱내 노동을 했다는 사실도 기록되어 있다고 해요.

 

시민단체가 1992년에 진행한 청취 조사에서는 강제 동원의 경험자 중 한 명이 "매일 황민화 교육을 받았다. 말을 듣지 않으면 '기합'을 받았다. 구타도 있었다"고 증언했어요. 황민화 교육은 일왕에 대한 충성을 강요하는 교육이었어요.

 

니가타국제정보대의 요시자와 후미토시 교수는 조선인 강제 노동이 있었다는 사실을 전제하면서, 니가타현과 사도시가 지역 역사를 솔선수범하여 기록하고 계승해야 한다고 주장해요. 그는 "(일본) 정부는 사실을 인정하고 역사와 마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어요. 또한, 조선인 노동 실태와 생활을 알 수 있도록 환경을 정비해야 한다고도 조언했어요.

 

일본 정부는 사도 광산의 유산 시기를 에도시기(16∼19세기 중반)로 한정하여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동 등 전체 역사를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어요.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지난달 6일 공개된 심사 결과에서 "전체 역사를 현장 레벨에서 포괄적으로 다루는 설명·전시 전략을 책정해 시설과 설비 등을 갖추라"고 주문했어요. 일본 정부는 에도시기 이후 유산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역을 제외하라는 이코모스 권고를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한국 정부와 이코모스가 요구하는 '전체 역사 반영'에 대해서는 명확한 방침을 밝히지 않고 있어요.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는 이달 하순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될 예정이에요. 한국과 일본은 모두 21개국으로 구성된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이에요. 이번 회의에서 어떤 결론이 나올지 주목되고 있어요.

 

사도 광산의 조선인 강제 동원 문제는 일본의 과거사를 제대로 직시하지 않는 태도를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예요. 일본은 여전히 과거사 문제를 인정하고 사과하는 데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요. 이는 한국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이유이기도 해요. 일본 정부는 사도 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에도시기의 역사만을 강조하고 있지만, 강제 동원된 조선인들의 고통과 희생도 반드시 함께 기억되어야 해요.

 

사도 광산의 역사적 의미는 단순히 금과 은을 채굴했던 장소라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아요. 그곳에서 일했던 수많은 조선인들의 이야기도 함께 담아내야 해요. 그렇지 않다면, 이는 역사적 진실을 왜곡하는 것과 다름없어요.

 

또한,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등재가 결정되면, 이를 통해 일본이 과거를 어떻게 기억하고, 앞으로 어떻게 나아갈지에 대한 중요한 메시지를 국제 사회에 전달할 수 있어요. 일본은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고, 이를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는 모습을 보여줘야 할 때예요.

 

그리고 이번 사도 광산 문제를 계기로 일본 내에서도 과거사에 대한 재평가와 반성이 이루어지길 바라요. 이를 통해 일본과 한국, 나아가 동아시아 지역의 화해와 협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기를 기대해요. 역사적 진실을 바탕으로 한 진정한 화해만이 지속 가능한 평화를 이룰 수 있는 길이에요.

 

마지막으로, 사도 광산에 대한 논란이 단순히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여부를 넘어서, 과거사 문제를 해결하고 화해와 협력을 도모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기를 바라요. 이는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과 전 세계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일이 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