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

인천 퇴임 초등학교 중학교 교사 선생님 2명, 김철홍 인천대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윤석열 대통령 훈장 거부

by niceharu 2024. 10. 30.

김철홍 인천대 산업경영공학과 교수가 윤석열 대통령 이름으로 주어지는 훈장을 거부한 사건이 최근에 화제가 되고 있어요. 이런 결정은 단순히 개인의 선택을 넘어서, 정치적 맥락에서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고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이번 사건에 이어 인천의 한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훈장을 거부한 두 교사의 소식도 전해졌습니다.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내년 2월 28일에 퇴임하는 한 초등학교 교사 A씨(61)는 대통령 훈장을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어요. A씨는 30년 넘게 교육 현장에서 일해왔고, 최근 인천시교육청의 훈·포장 수요조사에서 훈장을 받지 않겠다는 의사를 명확히 했습니다. 그는 훈장 수여를 거부한 이유로 “윤 대통령을 인정하고 싶은 마음이 없다”는 점을 밝혔어요. 이런 점에서 그의 결정은 정치적인 신념과 교육자로서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보다 앞서서 지난 8월에 정년 퇴임한 중학교 교사 B씨(62)도 훈장을 거부하겠다고 발표했어요. 이처럼 연달아 훈장을 거부하는 사례가 나오면서, 교육계에서는 이러한 결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질 것 같아요. 특히, 훈장을 수여하는 주체인 대통령에 대한 인식이 교육자들에게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김철홍 교수의 훈장 거부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어요. 그는 "이 훈장 자네나 가지게"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훈장을 거부한 이유를 설명했는데, 그가 밝힌 이유는 꽤나 강렬했어요. 그는 “훈·포장 증서에 쓰일 수여자의 이름에 강한 거부감이 들었다”라고 말하며, 훈장을 수여하는 사람이 대한민국 또는 직책상의 대통령이 아니라 대통령 윤석열이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어요.

 

그는 만약 훈장이나 포장을 받더라도 조국 대한민국 명의로 받고 싶지, 지금의 대통령에게 받는 것은 원치 않는다고 분명히 말했어요. 그는 “훈장이나 포상을 하려면 받는 사람도 자격이 있어야 하지만, 그 상을 수여하는 사람도 충분히 자격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어요. 이러한 발언은 현재 정치 상황에 대한 비판이자, 자신이 가진 가치관을 고수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훈장 거부 사건은 단순히 개인의 선택으로 그치지 않고,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로 확산될 수 있어요. 특히, 교사라는 직업이 갖는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고려했을 때, 이들의 결정은 교육계의 변화와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교육자들이 자신들의 신념에 따라 행동하는 모습은 후배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입니다.

 

더 나아가, 훈장이나 포상이 단순히 개인의 업적을 인정받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져야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교육자들의 거부는 훈장 수여의 의미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만들어요. 포상의 기준이 무엇인지, 누가 그 기준을 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해 보입니다.

 

또한, 이번 사건은 다른 분야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정치인이나 기업인들 중에서도 훈장이나 포상을 거부하는 사례가 나올 수 있고, 이는 더욱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훈장을 수여하는 주체와 수여받는 자의 신뢰 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훈장 수여에 대한 논란은 정치적, 사회적 맥락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올 수 있는 주제입니다. 향후 이와 관련된 여러 가지 논의가 이어질 것이고, 이에 따라 사회적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도 크다고 생각해요. 교육자들이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훈장을 거부하는 모습을 보면서, 앞으로의 사회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이 커집니다.

 

결국, 이런 결정들이 개인의 신념을 지키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기를 기대합니다. 교육자들이 스스로의 가치를 존중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는 모습을 통해 많은 이들이 영감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사례들이 쌓여서 사회가 조금씩 변화해 나가길 바라요.

 

훈장 거부와 같은 결정들은 결국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것이기도 하니까요. 오늘날처럼 정치적으로 복잡한 시대에 사는 우리는 각자의 입장에서 다양한 선택을 하게 되는데, 그 선택들이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깊이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교육자들의 이런 의식 있는 행동이 앞으로도 계속 이어지기를 기대하며, 모두가 함께 생각하고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을 찾아가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