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

2024 노벨 경제학상에 '국가간 불평등' 연구한 3인, 다론 아제모을루·사이먼 존슨·제임스 로빈슨 공동 수상

by niceharu 2024. 10. 14.

2024 노벨 경제학상은 국가 간 부의 차이와 제도 간의 관계를 연구한 다론 아제모을루, 사이먼 존슨, 제임스 로빈슨 교수에게 돌아갔습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이 10월 14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이 세 명의 학자들은 국가의 번영에 있어 제도의 역할을 연구한 공로로 이 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아제모을루와 존슨은 MIT 교수로, 로빈슨은 시카고 대학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이들의 연구는 국가가 어떻게 번영하고 쇠퇴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세 명의 학자들은 포용적 제도와 착취적 제도가 국가의 발전과 빈곤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했습니다. 포용적 제도는 모든 사회 구성원들에게 이익을 창출하는 반면, 착취적 제도는 소수의 권력자들에게만 단기적인 이익을 제공합니다. 노벨위원회는 이들의 연구가 사회 제도의 중요성을 입증했으며, 특히 정치 제도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위원회는 또한 정치 시스템이 권력자들의 통제를 보장하는 상황에서는 개혁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기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런 경우, 사회 전반적인 개선을 기대하기는 힘들다는 분석입니다. 특히, 혁명의 위협이 있을 때 권력자들은 대중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경제 개혁을 약속할 수 있지만, 상황이 안정되면 다시 권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돌아가는 경향이 있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입니다. 따라서, 진정한 사회 개혁을 위해서는 권력의 이양과 민주주의의 확립이 필수적일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습니다.

 

노벨 경제학상 위원장인 야콥 스벤슨은 국가 간 소득 격차를 줄이는 것이 오늘날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라고 말하며, 수상자들이 이를 달성하기 위해 사회 제도의 중요성을 입증한 연구를 한 것에 대해 높이 평가했습니다.

 

노벨 경제학상은 다른 노벨상과 달리 1901년이 아닌 1969년부터 수여되고 있습니다. 이 상은 스웨덴 중앙은행이 창립 300주년을 기념해 제정한 것으로, 정식 명칭은 '알프레드 노벨을 기념하는 경제과학 분야의 스웨덴 중앙은행상'입니다. 상금 역시 노벨위원회가 아닌 스웨덴 중앙은행에서 수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통 '노벨 경제학상'으로 통칭되며 다른 노벨상들과 마찬가지로 스웨덴 왕립과학원이 심사를 하고 수상자를 선정합니다. 시상식은 매년 12월 10일,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에 맞춰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진행됩니다. 다만, 평화상은 특별히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시상됩니다.

 

알프레드 노벨은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한 스웨덴의 발명가로, 그가 남긴 유산으로 인해 인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인물이나 단체에게 노벨상이 수여됩니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은 10월 7일 생리의학상부터 시작해 경제학상까지 모두 발표가 마무리되었습니다. 특히 이번에는 한국의 소설가 한강이 문학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습니다. 한강은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인물이 되었습니다.

 

이들의 연구는 오늘날의 세계 경제와 사회적 불평등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제도가 국가의 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라는 점을 밝힘으로써, 정책 결정자들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포용적 제도가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이들의 연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가 번영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반면, 착취적 제도는 단기적인 이익을 위해 권력자들이 선택할 수 있지만, 이는 결국 사회 전반의 퇴보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단순히 학문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실제 정책 수립 과정에서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의 경제 발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할 때, 포용적 제도를 도입하고 유지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일깨워줍니다. 민주주의 체제를 확립하고, 권력을 분산시키며,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공정한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가 경제 성장을 이끄는 데 필수적이라는 점은 이미 많은 사례를 통해 증명되었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제도를 도입하고 유지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권력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위치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개혁이 좌절되거나 퇴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아제모을루, 존슨, 로빈슨 교수의 연구는 이러한 현실적인 장애물에도 불구하고, 포용적 제도가 국가 발전에 필수적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들의 연구는 단순히 경제적 성장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안정성과 사회적 공정성 역시 중요한 요소로 다룬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경제와 정치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주며, 정책 결정자들이 보다 넓은 시각에서 문제를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들이 제시한 이론과 통찰은 앞으로도 많은 나라의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부의 불평등을 해소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국가 간의 소득 격차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번영을 이루는 데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올해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이들의 연구는 단순히 이론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담고 있어 더 큰 의미가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들의 연구가 더 많은 나라와 정책에 반영되어, 전 세계적인 경제적,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